top of page
한국, CU '편의점, 담뱃가게는 옛말'
2024년 2월 20일
CU, 식품매출 비중 늘고 담배 줄어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5c6a51_141443743f98486482e8ef55dac9d5bf~mv2.gif/v1/fill/w_800,h_683,al_c,pstr/5c6a51_141443743f98486482e8ef55dac9d5bf~mv2.gif)
코로나 팬데믹 이후 편의점이 주요 식품 구매처로 자리 잡으면서 담배 매출 비중이 갈수록 줄고 있다. 편의점 CU는 2019년 40.1%였던 담배 매출 비중이 지난해 37.3%까지 떨어졌다고 19일 밝혔다.
같은 기간 식품 매출 비중은 54.0%에서 56.8%로 증가했다. 식품과 담배 매출 비중 차이는 2019년 13.9%P에서 지난해 19.5%P로 벌어졌다. CU는 식품류에서 차별화된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히트상품을 내놓은 덕분으로 분석하고 있다. CU는 초특가 자체브랜드 '득템' 시리즈를 출시해 2년간 2천300만개를 팔며 장보기 수요를 흡수했고, 지난해부터는 쌀, 채소, 과일, 정육, 수산 등 식재료로도 판매 제품을 확장해나가고 있다.
최근에는 컬리와 손잡고 장보기 특화 편의점을 선보이기도 했다. CU는 올해도 상품 혁신을 주요 경영전략으로 잡고 '전문가와 맛있는 맛남'이라는 슬로건 아래 각 분야 전문가와 손잡은 협업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. 커피는 박이추 바리스타, 간편식은 백종원 요리연구가, 가공식품은 여경옥 셰프, 빵은 송영광 명장, 술은 손석호 바텐더와 손잡고 협업 상품을 내놓고 있다. 또 장바구니 물가를 고려해 가성비 삼각김밥과 컵라면도 선보이고 있다.
BGF리테일 진영호 상품본부장은 "구매 고객이 고정적인 담배보다 추가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식품류의 상품 경쟁력을 높여 매출과 수익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"고 말했다.
bottom of page